ElasticSearch TimeZone 설정 방법 (리눅스 현재시간 설정 방법)
ElasticSearch에서 crontab 작업, 혹은 기타 시간 설정 등이 필요할 때가 있는데 이게 기본값으로 UTC로 표현되어 한국에서 ElasticSearch를 다룰 때 불편하다.
리눅스 현재 시간 확인 방법
현재 ElasticSearch의 TimeZone설정을 확인하고 싶은 경우 아래 명령어를 실행시킨다.
Docker환경의 ElasticSearch인 경우 해당 컨테이너 내부에서 실행시킨다.
date
#출력
Thu 25 May 2023 06:04:29 AM UTC
#만약 이렇게 나오면 하지 않아도 된다.
2023. 05. 25. (목) 15:05:14 KST
해당 글은 `date` 명령어를 입력하였을 때 출력이 KST로 나오지 않는 현상에 대해서 다루는 부분이므로 이미 KST 라고 출력되는 경우에는 해당 글을 따라하지 않아도 된다.
KST로 나오지 않는 경우에는 아래 절차를 따른다.
TimeZone 선택
tzselect
Asia를 선택한 후 Seoul 선택
또는
Asia를 선택한 후 Korea(South)선택
만약 알 수 없는 명령어라고 출력되는 경우 아래 절차를 따른다.
tzdata install
sudo apt-get install tzdata
해당 구문을 실행하면 설치 과정에서 현재 TimeZone을 설정하는 과정까지 나온다.
ElasticSearch TimeZone 설정 방법 (리눅스 현재시간 설정 방법)
ElasticSearch에서 crontab 작업, 혹은 기타 시간 설정 등이 필요할 때가 있는데 이게 기본값으로 UTC로 표현되어 한국에서 ElasticSearch를 다룰 때 불편하다.
리눅스 현재 시간 확인 방법
현재 ElasticSearch의 TimeZone설정을 확인하고 싶은 경우 아래 명령어를 실행시킨다.
Docker환경의 ElasticSearch인 경우 해당 컨테이너 내부에서 실행시킨다.
date
#출력
Thu 25 May 2023 06:04:29 AM UTC
#만약 이렇게 나오면 하지 않아도 된다.
2023. 05. 25. (목) 15:05:14 KST
해당 글은 `date` 명령어를 입력하였을 때 출력이 KST로 나오지 않는 현상에 대해서 다루는 부분이므로 이미 KST 라고 출력되는 경우에는 해당 글을 따라하지 않아도 된다.
KST로 나오지 않는 경우에는 아래 절차를 따른다.
TimeZone 선택
tzselect
Asia를 선택한 후 Seoul 선택
또는
Asia를 선택한 후 Korea(South)선택
만약 알 수 없는 명령어라고 출력되는 경우 아래 절차를 따른다.
tzdata install
sudo apt-get install tzdata
해당 구문을 실행하면 설치 과정에서 현재 TimeZone을 설정하는 과정까지 나온다.